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준호(축구선수)/선수 경력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손준호(축구선수)


1. 개요
4. 플레이 스타일
5. 통산 클럽 기록
6. 공격 포인트 일지



1. 개요[편집]


축구 선수 손준호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2. 클럽 경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손준호(축구선수)/클럽 경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손준호(축구선수)/국가대표 경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K리그 원탑 수미, 리그 최소 실점 1등 공신. 현재로서 주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인데, 현대 축구에서 각광받는 스타일의 유형이다. 수비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 포지션이 중미이다 보니 좀 더 크로스나 패스에 치중해 상대 팀의 라인을 깨는 스타일이다.

페널티킥도 꽤 잘 차다보니 포항 시절 팀의 전담 키커를 맡았었다. PK에 매우 약했던 포항으로선 천군만마와도 같았던 존재.

2019년까지는 상대를 향한 터프함, 넓은 활동량과 준수한 패스실력이 장점이나 아직 수비력이 부족하여 조금은 무모한 경합 장면도 많이 나왔었다. 또한, 과한 승부욕으로 경고왕에 등극할정도로 경고를 자주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20년부터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지션 변경 후 원래부터 장점인 수준급의 중거리와 패스실력과 함께 일취월장한 수비력을 바탕으로 2020년 K리그1 MVP에 등극했다.

보통 한국 출신 수비형 미드필더는 거칠면 투박한 경우가 많고 영리하면 연약한 경우가 많은데 손준호는 거칠면서도 간간히 영리한 패스를 찔러줘서 상대를 더욱 골치 아프게 하는 주로 분데스리가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의 수비형 미드필더다.

허나 단점으로는 프로 데뷔 전까지 윙어 출신이었기에 수비시에 아직도 너무 무모하고 거친 버릇이 남아 있어서 카드 수집을 자주 하는 편이고, 볼을 빼앗겼을 시판단과 포지셔닝이 아쉬운 장면이 보이는데 어릴 때부터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가 아니다 보니 지적되는 부분이다. 상대에게 파울을 당했을 시 과도한 오버액션을 취하는 다소의 비매너성 플레이도 종종 보인다.

2020 시즌이 한창인 현재 제대로 된 박스 투 박스형 원볼란치 미드필더가 나왔다며 극찬받고 있다.[1]

대표팀에서는 기성용의 롤을 그대로 이어받아 정우영, 원두재 등 신체조건 좋은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와 함께 투볼란치로 뛸 최적의 선수로 평가된다. 다만 정우영과 비교하면 피지컬에서 밀리다 보니 공중볼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 주전 경쟁에서 정우영에게 밀리는 이유도 바로 그것.

또한 이런 스타일의 단점으로는 안 풀리는 날에는 그대로 지워지며 무색무취한 선수가 되어 버린다는 것으로 국대에서 유독 부각된다.


5. 통산 클럽 기록[편집]


2023년 3월 20일 기준.

시즌소속 구단리그 출전리그 골리그 도움FA컵 출전FA컵 골FA컵 도움ACL 출전ACL 골ACL 도움
2014포항 스틸러스2512200711
20153594301---
2016400---212
201735414100---
2018전북 현대 모터스304421-410
20193153---700
20202525415100
2021산둥 타이산2144600---

K리그170경기24골31도움
FA컵12경기3골2도움
ACL22경기3골3도움


6. 공격 포인트 일지[편집]



6.1. K리그1[편집]


일자소속 구단상대 구단공격 포인트
2014.03.29포항상주1득점
2014.04.12포항제주1도움
2014.10.26포항상주1도움
2015.03.08포항수원1득점
2015.03.15포항울산1득점
2015.04.15포항전남2득점 1도움
2015.05.10포항성남1득점
2015.05.25포항울산1도움
2015.06.07포항성남1도움
2015.06.20포항부산1도움
2015.06.27포항광주1득점
2015.07.08포항제주1득점
2015.09.19포항제주1득점
2015.10.24포항제주1득점
2017.03.18포항강원1득점
2017.04.09포항인천1도움
2017.04.29포항상주1도움
2017.05.06포항서울2도움
2017.06.28포항전북1득점
2017.07.22포항제주1골 1도움
2017.08.06포항전남'''{{{#eee156
1도움}}}'''
2017.09.30포항상주1도움
2017.10.14포항인천1득점 1도움
2017.11.04포항상주2도움
2017.11.18포항광주2도움[2][3]
2018.03.18전북서울1도움
2018.04.08전북포항1득점
2018.08.11전북강원1도움
2018.08.19전북서울1득점
2018.09.02전북경남2도움
2018.09.15전북제주1득점
2018.11.04전북울산1득점
2019.04.02전북경남1득점
2019.04.13전북제주1도움
2019.04.20전북상주1도움
2019.05.29전북강원1득점
2019.07.07전북성남1득점
2019.07.31전북제주1득점
2019.11.03전북대구1도움
2019.12.01전북강원1득점
2020.05.08전북수원1도움
2020.05.16전북부산1도움
2020.06.16전북포항1도움


6.2. AFC 챔피언스 리그[편집]


일자소속 구단상대 구단공격 포인트
2014.05.06포항전북1득점
2016.03.02포항우라와1득점
2018.05.08전북부리람1득점


6.3. 대한축구협회 FA컵[편집]


일자소속 구단상대 구단공격 포인트
2018.08.08전북아산1득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6:17:50에 나무위키 손준호(축구선수)/선수 경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가대표에서 3선에 기용되는 황인범은 박투박 롤을 맡고있기는 하지만 피지컬이 약해서 중동 팀을 상대로 힘겨워하는데다 수미가 아닌 중미고, 백승호는 패스를 잘 뿌리고 탈압박과 공중볼 경합이 좋지만 수비력과 위치선정, 롱킥이 뛰어나지 않으며, 정우영은 피지컬과 수비력이 좋지만 기동력이 낮고 활동범위가 좁으며 압박에 약해서 원볼란치로 나오면 패스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원두재의 단점도 정우영과 마찬가지.[2] 전반 19분 김승대의 선제골을 도운 것만 인정되어 1도움으로 기록되고 후반 22분 양동현의 골은 우찬양의 도움으로 기록되었으나, 양동현에게 볼이 이어지기 직전에 손준호가 발을 갖다 대어 관여하는 듯한 동작이 보여 포항 구단이 양동현 골의 도움자를 우찬양에서 손준호로 정정해 줄 것을 연맹에 요청했고 연맹은 포항의 요청을 받아들여 11월 20일 평가 위원회에서 재차 분석을 통해 우찬양이 아닌 손준호가 도움을 기록했다고 정정했다. ‘도움왕’ 손준호, 올 시즌 도움 개수 13→14 정정[3] 만약 윤일록이 다음 날 제주와의 최종전에서 도움을 추가했다면 출전이 더 적은 윤일록이 도움왕이 되었다가 다시 손준호로 정정될 뻔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윤일록이 도움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손준호 입장에서 양동현 골의 도움 여부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결론은 프로 첫 공격 포인트 날아간 우찬양이 최대 피해자